경제공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우리 가구는 어디에 해당할까요?

멋진하프타임 2025. 5. 16. 23:56

반응형

혹시 정부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뭔지 궁금하셨던 적 있으신가요?
청년 도약계좌, 기초생활 보장, 주거급여, 교육급여 같은 제도를 신청하려다 보면 “기준 중위소득 OO% 이하 가구”라는 조건이 자주 등장하죠. 그런데 이 ‘기준 중위소득’이 정확히 무엇이고, 우리 집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알기 어려웠던 분들 많으셨을 겁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관련 정보들을 정리해 드립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가구 수에 따라 금액이 다르며, 정책별 지원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2,392,013원, 4인 가구는 6,097,773원입니다.
우리 가구의 소득이 이 금액의 몇 % 수준인지에 따라 각종 복지 수급 대상 여부가 결정되죠.

건강보험료로도 확인 가능해요


직접 세전소득을 계산하기 어렵다면,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직장가입자의 경우, 월 90,000원의 건강보험료를 낸다면
이를 건강보험료율인 3.545%로 나누면 약 2,548,787원의 세전소득이 산정됩니다.

이처럼, 월 건강보험료를 통해서도 기준 중위소득 구간을 가늠할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392,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6인 가구 8,064,805원

복지 혜택, 어떤 기준으로 받을 수 있을까?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일 경우, 다양한 복지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급여별로 필요한 중위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 의료급여: 40% 이하
• 주거급여: 48% 이하
• 교육급여: 50% 이하

즉,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50%는 3,048,886원으로,
이보다 소득이 낮다면 교육급여 등 수급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복지 혜택, 꼭 확인해 보세요


정책 지원 여부는 기준 중위소득 구간에 따라 달라지므로,
내 가구의 소득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계산기나 자동 소득 구간 판별 툴을 제공하는 앱 또는 웹사이트를 이용하면 더 쉽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복지로 사이트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해 보세요.

https://m.bokjiro.go.kr/ssis-tem/index.do

우리 집도 지원 대상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