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정리

멋진하프타임 2025. 9. 14. 00:39

반응형

정부가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발표했습니다.
중위소득은 우리나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초생활 보장제도 등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번에 발표된 수치는 역대 가장 큰 폭의 인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6년 중위소득 인상 폭

2025년 대비 2026년 중위소득 인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2,564,238원 (7.20% ↑)
  • 2인 가구: 4,199,292원 (6.78% ↑)
  • 3인 가구: 5,359,036원 (6.64% ↑)
  • 4인 가구: 6,494,738원 (6.51% ↑)
  • 5인 가구: 7,556,719원 (6.31% ↑)
  • 6인 가구: 8,555,952원 (6.09% ↑)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세부 금액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564,238원
2인 가구 4,199,292원
3인 가구 5,359,036원
4인 가구 6,494,738원
5인 가구 7,556,719원
6인 가구 8,555,952원

※ 60% ~ 200% 구간에 따른 세부 금액은 표로 제공되며, 복지 수급 자격 산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복지급여 선정 기준 (2026년)

중위소득 인상으로 각 복지급여 기준도 다음과 같이 상향되었습니다.

  • 생계급여 (32%)
    • 1인 가구: 820,556원
    • 4인 가구: 2,078,316원
  • 의료급여 (40%)
    • 1인 가구: 1,025,695원
    • 4인 가구: 2,597,895원
  • 주거급여 (48%)
    • 1인 가구: 1,230,834원
    • 4인 가구: 3,117,474원
  • 교육급여 (50%)
    • 1인 가구: 1,282,119원
    • 4인 가구: 3,247,369원

세전소득 확인 방법

기준 중위소득은 세전소득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급여명세서에서 공제 전 지급총액 확인
  2. 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료 조회 후, 건강보험료 ÷ 3.545% 계산
  3. 국세청 홈택스에서 지급명세서 또는 소득금액증명 발급

프리랜서·개인사업자의 경우 홈택스 종합소득 신고자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반응형

마무리

2026년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인상률을 기록하며 저소득층 지원과 복지 확대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가구별 소득 구간을 미리 확인해 두면 각종 지원제도 신청 시 유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