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블로깅

애플페이 되는 빨래방, 왜 진작.

오 신기합니다. 처음에 애플페이가 국내에 출시되었을때, 사용 가능 매장을 웹 페이지 하나 정도에서 볼 정도였는데, 지금은 정말 많은 곳에서 애플페이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심지어, 빨래방에서도 애플페이가 되는 군요. 애플페이 설정/등록 방법 애플페이 설정/등록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Apple Pay 애플페이 등록 방법 및 사용처 (feat. 현대카드) 이번에 아이폰 15로 바꾸고 이것저것 살펴보다가, 아, 애플페이가 있었지 하고 다시 들여다봤습니다. 해외 소식을 통해, 애플페이를 사용하는 것을 보면 은근히 부러웠는데. 이제야 한국에도 도 delicioushalftime.com 애플 페이가 되는 빨래방 찾기 먼저는 워시앤페이라는 앱을 설치해야 됩니다. 꽤 많은 빨래방에서 사용 가능한 앱이네요. 워시앤페..

일상블로깅 2024.03.08

카카오로 선물받은 문화상품권 네이버포인트로 바꾸는 방법

카카오 선물하기 기능으로 문화상품권을 받았을 경우, 어디서 어떻게 써야할지 애매한 경우가 있습니다. 네이버 포인트로 변경을 한다면, 더 많은 곳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것도 아닌 절차인데, 2번 정도 변환을 해야해서 복잡하게 느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차근 차근 설명드릴 예정이니, 이 창을 띄어 놓고 하나씩 차근 차근 해보시면 쉽게 변경하실 수 있을 겁니다. 먼저는 선물 받은 문화상품권이 아래와 같이 컬쳐랜드에서 발행한 것이면 이 글이 도움이 됩니다. "12자리로 된 교환권 번호"가 보일겁니다. 이렇게 받은 선물은 유효기간이 짧으니 바로 상품권으로 교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선물은 상품권 자체는 아니고, 상품권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교환권입니다. 카카오톡으로 선물 받은 상품권이..

일상블로깅 2024.02.17

제발 설을 구정이라고 하지 마세요.

어떤 단어의 명칭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는 중요합니다. 사실 그냥 발성일 뿐이고, 그냥 문자일 뿐이다라고 이야기 한다면, 언어 자체가 의미없다고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어가 가진 의미와, 그 단어의 역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젊은 세대는 잘 모르겠지만, 나이가 조금 있으신 분들은 가끔 '구정'이라는 단어를 쓰기도 합니다. 게다가 그런 분들이 의사결정권자인 곳에서는 '구정'이라는 단어가 솔솔치 않게 보입니다. 마트나 광고전단지나, 문자등에서 가끔 확인이 됩니다. 그런데, 구정이라는 단어가 왜 생겼는지 알고 계신가요? 구정 하면 떠오르는 또 다른 상대 단어가 신정이죠? 그래서 양력 1월 1일은 신정이라고 부르고, 음력 새해는 구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단어의 역사를 알면 민족의 슬픔이 있습니..

일상블로깅 2024.02.05

버스전용차로 몇 인승 몇 명 이상 이용 가능할까?

꽉 막힌 도로를 보면, 한적한 버스 전용차로가 생각이 납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버스전용도로로 진입하면, 과태료와 벌점이 부과됩니다. 보통 일반 도로 보다는 고속도로에서 버스전용차선이 눈에 아른 거리는데요. 만약 위반을 하게되면, 승용차인 경우 6만원, 승합차인 경우 7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또한 벌점 30점이 부과됩니다. 만약 1년간 121점이상 누적이 되면, 면허취소가 될 수 있습니다. 즉,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카메라에 4번 찍히면, 120점.. 5번째 찍히면.. 면허취소입니다. 그러니, 함부로 들어가지 마시고, 어떤 기준이 있는지 알아보면 좋겠죠!? 버스전용차로란? 교통 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만 통행하도록 지정한 전용 도로입니다. 하지만, 긴급자동차의 경우도 사용할 수 있..

일상블로깅 2024.02.02

기지개 기지게 김치찌게 김치찌개 맞춤법 어느 것이 맞을까?

개로 끝나는 단어가 가끔 헷갈릴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기지개/기지게, 김치찌개/김치찌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기지개/기지게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팔과 다리, 온 몸을 쭉 펴는 행위를 기지개라고 하는데요. 이때 맞는 단어는 바로 '기지개'입니다. 여기에서 또 한번 알고 가면 좋은 것이, 보통 기지개를 켠다, 기지개를 편다등 2가지 단어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기지개'라는 단어자체가 몸을 쭈~~욱 펴는 행위를 나타내기 때문에.. 몸을 쭈~~욱 펴는 행위를 편다라고 하면, 2중적으로 의미가 들어가기 때문에 틀린 표현입니다. 바치, 해변가 처럼 말이죠. (변이 가와 같은 뜻이므로, 해변가라는 말은 해변변 혹은 바닷가가와 같은 이상한 단어가 됩니다) 그래서, 올바른 단어와 표현은 '기지개..

일상블로깅 2024.01.25
반응형